2025.04.24(목)

  • 맑음동두천 9.1℃
  • 구름많음강릉 6.1℃
  • 박무서울 11.2℃
  • 박무대전 11.7℃
  • 박무대구 12.7℃
  • 박무울산 10.3℃
  • 흐림광주 12.6℃
  • 박무부산 12.2℃
  • 맑음고창 10.4℃
  • 맑음제주 12.6℃
  • 구름조금강화 9.5℃
  • 맑음보은 12.0℃
  • 맑음금산 9.8℃
  • 흐림강진군 13.0℃
  • 구름조금경주시 8.4℃
  • 흐림거제 12.0℃
기상청 제공

정치/행정

용인특례시의회 김병민 의원 "마북연구단지 개선 시급…'신성장동력'으로 발전시켜야"

"세수 기여 200억 원, 삼성에 버금"…"플랫폼시티-단국대 연계 첨단 클러스터 구축"

 

(중앙뉴스타임스 = 방재영 기자) 용인특례시의회 김병민 의원(구성동,마북동,동백1동,동백2동/더불어민주당)은 23일 마북동에 위치한 마북연구단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며, 용인시의 기업 투자 환경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날 열린 제292회 임시회 3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마북연구단지 내 기업들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회사로 성장했지만, 연구단지의 개발 여건은 40년 전과 다를 바 없다”며, 행정적 지원 확대와 규제 완화를 역설했다.

 

마북연구단지에는 현대모비스와 현대자동차, KCC 등의 연구소가 입주해 있다. 5000여 명의 연구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지난 5년간 연평균 200억 원 정도의 지방세 수입이 발생한다고 김 의원은 설명했다. 용인시 지방세 납부 1위 기업인 삼성전자가 지난해 납부한 지방세 234억 원에 버금가는 수준이라는 것.

 

김 의원은 “규제로 인한 연구단지의 저밀도 개발이 연구단지의 성장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현대모비스, 현대차 등 일부 기업은 ‘업무공간 부족’으로 연구 인력을 이미 타 지역으로 이전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성남시의 HD현대 유치 사례를 제시하며 용인시가 벤치마킹할 것을 촉구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성남시는 HD현대 유치를 위해 시유지인 유원지 용지를 상업용지로 변경하는 등 적극적인 행정 지원과 규제완화를 통해 17만5000㎡, 지하 5층 지상 20층 규모로 약 5000명의 연구 인력을 새롭게 유치했다.

 

김 의원은 먼저 “1984년 설립된 마북연구단지의 여건 개선이 필요하다”며, “행정적 지원 및 기업투자환경을 개선해 일자리 창출과 세수 증대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마북연구단지-플랫폼시티-단국대'를 연계한 첨단 클러스터를 구축해 용인의 신성장동력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