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뉴스타임스 = 방재영 기자) 인천광역시는 고농도 오존(O3) 발생이 잦은 여름철을 맞아 오존 농도를 집중 관리하기 위해 산업 및 수송 분야 등 전방위적인 저감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존은 대기 중 이산화질소(NO2)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햇빛과 반응해 생성되며, 기도 및 폐 손상, 감각기관 자극 등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어린이, 노약자, 호흡기 질환자 등은 0.1ppm 농도에서 30분만 노출되어도 두통 등의 증상을 겪을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인천시는 오존 예‧경보의 신속한 전파를 위해 ‘예보 알림톡’과 ‘경보 발령 알림’ 문자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고농도 오존이 발생할 경우 농도에 따라 주의보(0.12ppm 이상), 경보(0.3ppm 이상), 중대경보(0.5ppm 이상) 3단계로 오존 경보를 발령하고 있다.
올해는 현재까지 총 14일, 34회 주의보 경보가 발령됐다.
아울러, 인천시는 오존 직접 저감이 어려운 특성을 고려해, 주요 원인물질(NO2, VOCs) 배출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집중적으로 추진 중이다.
4월부터 현재까지 인천시는 이산화질소(NO2)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배출 사업장 총 644개소 중 181개소를 점검해 7개소에 대한 경고, 고발, 과태료 부과 및 개선명령 등의 조치를 취했다.
또한 주유소 166대의 유증기 회수설비를 검사하고, 부적합 판정을 받은 23대에 대해 개선 명령 조치를 시행한 바 있다.
교통 부문에서는 측정 장비와 비디오카메라를 활용해 차량 배출가스 단속 12,187건, 터미널 및 주차장 등 불법 공회전 3,162건을 단속했다.
또한 고압살수차를 활용해 도로 비산먼지를 제거하고,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휘발 배출을 줄이는 동시에 폭염 대책도 병행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원인물질 저감을 위해 5등급 노후 경유차 2,633대에 저공해 조치를 지원하고 전기차 및 수소차 등 무공해차 4,935대 보급을 지원했다.
박성연 시 대기보전과장은 “고농도 오존은 실외 활동을 피하고, 햇빛이 없는 실내로 대피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대처법”이라며, “인천시는 고농도 오존 발생에 대비한 관리대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해 시민 건강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시민들은 인천시 누리집을 통해 ‘오존예보 알림’과 ‘경보문자 알림’ 신청을 통해 알림톡과 문자를 받을 수 있으며, 오존 대응 행동요령을 안내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