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뉴스타임스 = 심옥자 기자) 송명화 서울시의원은 제298회 정례회 중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소관 상수도사업본부 행정사무감사에서 정수지 내부 방수·방식 노후화에 따른 수돗물 수질악화와 노후 밸브 누수에 따른 안전 문제 등을 지적하고 일부 정수센터 내 기존 공정에 대해서는 재건설 수준의 대대적인 정비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함을 지적했다.
내구연한 기준 훌쩍 넘긴 정수지 방수·방식 소재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긴 하나 일반적으로 정수센터 방수·방식 내구연한은 7년이다.
그러나 암사 및 강북정수센터는 1998년 최초 방수·방식공사 시행 이후 22년째 재정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광암, 뚝도, 암사정수센터 일부 정수지의 경우는 건설 이후 방수·방식공사가 한 번도 시행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에폭시 수지의 탈락, 시멘트 중성화 등 내부 벽면 손상이 심각해 수돗물 수질악화가 우려되고 있다.
송 의원은 앞서 구의, 강북, 암사정수센터를 방문해 정수지, 모래여과지 등 시설물 상태를 점검하고 심각한 노후화 상태를 직접 확인한 바 있다.
이날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송 의원은 현장에서 촬영한 사진과 동영상을 제시하며 “정수지 내부 벽면 손상 및 흡수정 난간 미설치, 배전반 부식, 모래여과지 난간 부식 및 천정 페인트 탈락 등으로 인한 수돗물 수질악화 및 작업자 안전문제 등이 심각히 우려된다”고 지적하고 정수센터 노후 시설을 재건설 수준으로 조속히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후 밸브로 인한 누수 및 밸브점검 미 이행 등의 안전문제 또한 송 의원은 정수센터 내 밸브 244개가 노후로 인해 지수가 제대로 되지 않음을 지적하며 강북정수센터 현장 확인 당시 촬영했던 영상을 제시했다.
상수도 밸브는 시설물 정비 및 사고 발생시 신속한 대처 등 안전과 직결되어 있어 밸브 상태에 대한 점검이 무엇보다도 중요하지만 400㎜ 이상의 대구경의 밸브에 대한 점검률은 1.9% 밖에 되지 않아 밸브 관리에 대한 심각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송 의원은 “대구경의 밸브의 경우 사고 발생 시 소구경 밸브보다 영향을 미치는 급수구역의 범위가 더 넓기 때문에 전수조사를 통해 불량 밸브는 교체·정비하는 등 밸브관리를 위해 지속적인 점검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송 의원은 노후화가 심각한 정수센터 재건설을 위해서는 취수원 이중화, 정수센터 계열분리 등의 문제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이에 대해 적극 대응하고 재원확보를 위해서는 국비요청도 적극 요청할 것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