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뉴스타임스 = 심옥자 기자) 돌봄, 먹거리, 집수리 등 코로나19로 발생할 수 있는 공동주택 내 생활문제를 주민과 지역 사회적경제조직이 함께 해결하고 이를 통해 더 나은 살림을 만들어가는 프로젝트가 시작된다.
궁극적인 목표는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 모델을 만들어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다.
서울시는 아파트,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 주민들이 모여 단지 내 생활문제를 발굴하고 해결방안까지 마련하는‘공동주택 같이살림 프로젝트’에 참여할 20여개 단지를 추가로 모집한다고 밝혔다.
올해 3월 21개 단지를 선발한데 이은 두 번째 모집이다.
모집마감일은 12일이다.
이번에 선정된 공동주택 단지들의 사업기간은 9월~12월이며 지원금은 단지당 최대 4,000만원이다.
시는 코로나19 장기화로 공동주택 내 취약계층이 늘고 있으며 돌봄이나 먹거리 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업 단지를 추가로 선발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사업은 연차별 3단계로 진행된다.
‘1년차’주민 자조모임 구성, 서비스 모델 발굴 → ‘2년차’사회적경제기업 설립을 통한 경제공동체 형성 → ‘3년차’창출된 수익을 지역서비스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방식이며 궁극적인 목표는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 모델 정착이다.
1년차 : 단지별 상황과 특성을 반영해 생활문제를 발굴하고 해결방법을 주도적으로 만들어 낼 주민 자조모임을 구성·운영한다.
이 모든 과정에는 전문 역량을 갖춘 ‘코디네이터’를 투입, 주민모임 구성~실행~사업화에 이르기까지 내실 있는 운영을 지원한다.
2년차 : 단지 내 유휴공간을 중심으로 주민 주도 사회적경제기업 설립을 지원한다.
1년차 사업으로 도출한 서비스를 상설화해 수익을 내는 ‘공동소비·공동생산의 경제공동체’ 형성이 목표다.
3년차 : 지역브랜드, 지역특화사업 같은 서비스 개발로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 모델을 만든다.
주민이 사회적경제의 소비자-투자자-기업가로 참여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한다.
‘150세대 이상 단지-주민 5명 이상 조직 확보한 사회적경제기관이 자치구로 신청 ’ 이번 공모는 150세대 이상 공동주택단지에 거주하는 5명 이상의 주민모임 1~2곳을 확보한 사회적경제기관이면 신청할 수 있다.
신청은 12일까지 해당 자치구로 하면 된다.
지원기관의 역할은 주민 주도로 프로젝트가 실행될 수 있도록 기획과 사업화를 지원하는 역할이다.
자치구별로 활동하고 있는 사회적경제 중간지원조직 자치구를 기반으로 사업을 수행하는 사회적경제조직 기타 공동주택 관련 사업 경험이 있는 비영리법인/비영리단체 등이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추가공모의 달라진 점은 그동안은 주민모임이 관할 자치구 담당부서로 신청하면, 구에서 지원기관을 별도로 선발해 매칭하는 방식이었으나 이번에는 신속한 추진을 위해 지원기관이 주민모임을 확보 한 후 신청하는 방식이다.
단, 참여는 원하나 공동주택단지를 확보하지 못했거나 기관을 선정하지 못한 주민모임이 있다면 서울시로 문의하면 단독으로 신청한 단지와 기관이 있을 경우엔 매칭해 줄 수도 있다.
또한 지난해 선발돼 1년차 사업을 추진했던 공동주택단지도 재신청할 수 있고 현재 유사·중복사업으로 공적자금 지원을 받고 있는 단지가 아니라면 참여가 가능하다.
‘공동주택 같이살림 프로젝트’는 지난 ’19년, 11개 자치구 20개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시작했다.
총 24,546세대가 지역 내 사회적경제조직과 연계해 돌봄, 친환경 먹거리, 집밥, 집수리 같은 생활문제해결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했다.
2019년 참여한 20개 단지의 경우 1년차 사업 종료 후 사업지속성 및 주민주도성을 평가해 이 중 8개 단지는 현재 2년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참여주민 대상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1.2%가 프로젝트가 단지 내 생활문제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응답자 78%는 사회적경제 방식의 문제해결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사회적경제 인지도도 83.6%였다.
고광현 서울시 사회적경제담당관은 “공동주택 같이살림 프로젝트는 입주민이 겪고 있는 생활문제를 사회적경제 방식, 즉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호혜와 연대를 바탕으로 함께 해결책을 찾는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특히 코로나19 재난 상황으로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입은 취약계층 대상 사회적 가치 창출과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사업을 집중 선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