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뉴스타임스 = 방재영 기자) 강원특별자치도(도지사 김진태)와 강원테크노파크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한 2023~2024년 지역 혁신클러스터 육성 사업 성과평가에서 전국 1위, 최고 등급인 ‘우수’ 지자체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평가는 1단계 클러스터로 지정된 전국 7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지난 2년간의 사업 추진 실적과 운영 역량 전반을 평가한 것으로, 도는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2기 대표적인 성과로는 ▲투자 유치 18개사 ▲사업화 매출 641억 원 ▲신규 고용 239명 ▲특허 및 인증 등 141건 등의 실적을 거두며, 디지털헬스케어 산업의 지역 확산과 기업 성장 기반을 강화했다.
현재 클러스터 내 입주기업은 총 274개사이며, 2023년 기준 매출은 1조 8,783억 원, 고용 인원은 6,873명에 달한다.
특히, 투자유치 18개 사에는 ㈜메디쎄이, ㈜현대메디택 등 중핵기업 2개사가 포함되어 있다.
R·D 기술개발 우수사례로는 ㈜메쥬가 AI 기반 심폐재활 의료기기 기술개발을 통해 누적 투자 유치 금액 305억 원의 성과를 기록하며 디지털헬스케어 창업 생태계 저력을 발휘했다.
또한, 전통 의료기기 중심의 산업 구조에서 AI, 빅데이터 기반 첨단의료기술로 산업 전반의 밸류체인을 확장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기술경쟁력도 확보하고 있다.
한편, 지역혁신클러스터는 '지방분권균형발전법'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대형 국책 사업으로, 지역 주력사업을 육성하기 위해 14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다.
도는 2018년 원주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디지털헬스케어 산업 거점지구로 지정된 이후, 산업단지, 기업, 대학, 병원 등과 연계해 R·D, 시제품 개발, 인허가 및 임상, 실증지원, 컨설팅, 국내외 마케팅, 전문인력양성까지 전 주기 지원 체계를 구축해 왔다.
특히, 2023년 2기 진입 이후에는 전담기구 확대와 데이터 안심존 구축 등 인프라 확장을 통해 강원 디지털헬스케어의 성장 발판을 마련해 왔다
도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디지털헬스케어 분야 선도 지자체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향후 국가정책 연계 및 R·D 사업 선정에 있어 유리한 조건을 확보하게 됐다.
또한, 이번 성과는 클러스터 2단계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로 활용될 예정이다.
김진태 도지사는 “이번 평가결과는 산‧학‧연‧관 모든 부문에서 함께 힘써준 덕분”라며, “최근 여러 특구와 단지 등이 많이 조성되고 있지만, 지정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성과를 발판삼아 반도체, 바이오 등 도에서 역점 추진 중인 7대 미래산업 분야에서도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