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산노인복지관 개관 지연 사태는 안양시 행정의 한계를 드러낸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복지, 건축, 회계, 도시 관련 부서가 각각 제 역할을 수행했음에도, 이를 종합적으로 조정할 컨트롤타워 부서가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 문제의 핵심이었다. 결과적으로 완공된 복지관은 1년이 지나도록 문을 열지 못한 상황을 만들었다. 그 과정에서 시민들은 오랜 불편을 감수해야 했고, 행정에 대한 신뢰는 크게 흔들렸다.
허원구 안양시의원은 지난 오분발언과 여러 차례의 기고를 통해 이 사안을 꾸준히 제기해왔다. 허 의원은 “부서 간 협업 부재는 행정 실패의 근본 원인”이라며 “조직 간 조정기능을 수행할 컨트롤타워 부서의 신설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의 지적은 단순한 비판이 아니라 행정 시스템의 구조적 개혁을 요구하는 실질적 제안이었다.
이에 최대호 시장은 “비산노인복지관 사태와 같은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며 컨트롤타워 부서를 신설하겠다고 공식 약속했다. 이는 시장과 시의회가 행정 책임의 방향성에 공감하며 신뢰 회복을 위한 새로운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최근 발표된 2025년 행정기구 개편안에는 해당 내용이 반영되지 않았다. AI전략국과 같은 기술 중심 부서는 신설되었지만, 부서 간 협업과 조정을 총괄할 조직은 여전히 존재하지 않는다. 행정의 혁신은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구조의 문제다. 시민이 체감하는 행정개혁은 AI가 아니라, ‘조정과 연결의 행정’에서 출발한다.
지금 안양시에는 보여주기식 조직개편이 아닌, 실질적으로 부서 간 협업을 총괄할 ‘정책총괄조정실’ 또는 ‘공공시설추진단’이 필요하다. 이 부서는 복지관·체육관·도서관 등 다부서가 얽힌 공공시설의 설계부터 준공, BF인증, 개관까지 전 과정을 통합관리하고, 행정의 공백을 방지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허원구 의원의 지속적인 제안은 행정을 향한 비판이 아니라, 시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방향 제시다. 이제 시장이 약속을 행동으로 옮겨야 할 때다. 컨트롤타워 부서 신설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다. 그것은 시민과의 신뢰를 되찾기 위한 시장의 책무이며, 안양시 행정이 다시 태어나는 개혁의 출발점이다. 약속을 지키는 행정만이 신뢰를 만들고, 그 신뢰가 곧 안양시의 미래를 지탱한다.
